반응형
안전난간, 이렇게 설치해야 합니다!
– 산업안전보건기준 제13조 완벽 해설
산업 현장에서 근로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보호장치는 바로 안전난간입니다. 특히 고소작업, 건설현장, 계단이나 단차가 있는 구간에서는 이 안전난간이 생명을 지키는 1차 방어선이 되죠.
오늘은 「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」 제13조에 따라, 안전난간 설치 시 반드시 지켜야 할 구조 요건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✅ 1. 안전난간, 어떤 구조여야 할까?
안전난간은 단순한 파이프 하나가 아닙니다. 법적으로 구성요소가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.
- 기본 구성:
👉 상부 난간대 + 중간 난간대 + 발끝막이판 + 난간기둥
※ 단, 중간 난간대나 발끝막이판은 동일한 성능을 가진 구조로 대체 가능합니다.
📏 2. 높이 기준, 이렇게 지켜야 해요
안전난간 설치 높이는 추락 방지의 핵심 요소입니다.
- 상부 난간대 높이는 바닥에서
👉 90cm 이상
👉 120cm 이하인 경우 → 중간 난간대는 중간 높이에 설치
👉 120cm 초과인 경우 → 중간 난간대를 2단 이상 균등하게 설치하고, 상하 간격은 60cm 이하로 유지 - 예외:
난간기둥 간 간격이 25cm 이하라면 중간 난간대 생략 가능
🧱 3. 발끝막이판도 잊지 마세요
- 10cm 이상 높이로 설치
- 단, 물체 낙하 위험이 없거나 방지망 등을 설치한 경우는 예외
🏗️ 4. 구조적 안정성도 필수!
- 난간기둥: 상부와 중간 난간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적정 간격으로 설치
- 난간대의 평행성: 바닥면과 수평으로 일직선을 유지해야 함
- 난간 재질: 지름 2.7cm 이상 금속제 파이프 또는 그 이상의 강도 재료
- 하중 기준: 구조적으로 가장 약한 지점에서 100kg 이상의 하중에도 버틸 수 있는 튼튼한 구조여야 함
📌 정리: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안전난간 설치 체크리스트
항목기준
난간 높이 | 90cm 이상, 최대 120cm (120cm 초과 시 2단 이상 중간 난간대) |
구성 | 상부, 중간 난간대 + 발끝막이판 + 기둥 |
발끝막이판 높이 | 최소 10cm |
재질 | 금속제 파이프(2.7cm 이상) 또는 동등 이상 |
내하중 | 최소 100kg 이상 |
설치 각도 | 바닥과 평행 유지 |
🧠 마무리하며
작업자의 추락사고는 한순간의 실수로도 발생할 수 있지만, 안전난간 설치만 제대로 해도 대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. 제13조는 단순한 형식적 규정이 아니라, 근로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최소한의 기준이라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.
“작은 규정 준수가 큰 생명을 지킵니다.”
반응형
'☞산업안전보건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전인증의 대한 완벽정리(KC, KCs, 어린이제품, 전자파) (11) | 2025.06.12 |
---|---|
특별안전교육 40종 완벽정리(교육종류 및 교육시간 등) (1) | 2025.05.13 |
건설기계 27종에 대한 분류 및 교육 완벽정리 (0) | 2025.05.12 |
산업재해조사표의 모든 것(휴업일수 산정방법,, 통원일수, 입원일수 등) (0) | 2025.04.25 |
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 20조(출입의 금지 등) (0) | 2025.04.21 |
댓글